안동시(시장 권영세)는 경북도가 주관한 개발촉진지구사업 추진평가에서 ‘장려기관’으로 선정되어 기관표창과 포상금 1백만원을 받게 되었다. 개발촉진지구사업 추진실적 평가는 ①MOU, 본 계약 등 민자유치 실적 ②투자공모, 설명회, 홍보 등 민자유치 노력도 ③국비지원 기반시설 사업 추진 실적 ④사업시행자 지정, 실시계획 승인 등 절차 이행실적에 대해 평가를 한 것이다. 안동시는 이번 평가에서 ‘안동문화관광단지조성사업’ 중 ‘유교문화권 중심거점 체류형 복합휴양단지 조성’사업이 우수사례로 선정되었다. 체류형 복합휴양단지 조성사업이 완료되면
2010-12-20
경상북도에서 우리사회 최우선과제인 일자리창출의 해결책을 찾고자 실시한 2010년도 제1회 일자리창출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안동시청 의회사무국 신병철(55세) 전문위원이 응모한 「전통문화참여단구성운영을 통한 일자리창출」이 대상으로 선정되어 상패와 시상금 100만원을 수상하게 되었다. 이번에 공모주제는 지역고용안정과 소득증대를 통한 부자경북 실현으로 청년층, 취약계층 일자리, 미스매치해소 등 지역일자리 전반으로 7개 분야를 선정하여 공모했는데 그 중 지속적인 일자리창출 방안을 응모했다. 대상을 차지한 전통문화참여단 구성, 운영 내용을 요약
2010-12-20
구제역 파문으로 안동지역 실물경제 침체가 전 분야로 파장이 확산됨에 따라 안동시에서는 지역경기 부양대책을 마련하고 시민들과 각 기관단체에서 적극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현재 육류업 식당과 식육점은 평년보다 10~20% 매출이 감소했고 식육점의 경우 외지 택배판매가 전무한 상태이며, 한우, 사과, 산약 등 안동의 대표적 농특산물 판매도 급감해 물류업도 전체물량의 30%정도 감소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지역별 특산물 택배물량 감소량을 살펴보면 북후 산약이 60~70%감소했고 녹전사과 90%, 길안사과가 70%정도 감소한 것으로
2010-12-20
청정지역이라 불리던 영양군에 뜻하지 않게 구제역이 발생되는 등 경북북부지역으로 확산됨에 따라 구제역의 확산 방지를 위해 영양군에서도 영양시장(5일장)을 오는 12. 19일부터 상황종료시까지 잠정폐쇄키로 결정하였다. 구제역은 전파속도가 매우 빠르고 치명적이며, 대부분 사람이나 이동수단에 의하여 전파되므로 사전 예방이 매우 중요하므로 많은 사람들이 운집하는 영양시장(5일장)을 부득이 잠정폐쇄케 되었으며, 따라서 외지 이동상인들은 구제역의 확산방지와 난관을 조속히 극복하고 어려움을 슬기롭게 해처 나가기 위해 영양 5일장 폐쇄에 따른 이용
2010-12-17
의성군에서는 16일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전염성에 대한 각종 유언비어가 난무하고 있어 대책을 발표했다. 의성군에 따르면 구제역(FMD : Foot-and-Mouth Disease)은 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등과 같이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우제류 동물)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급성 가축전염병으로 인수공통전염병은 아니라고 밝혔다. 병원체는 구제역 바이러스이나 섭씨 50℃이상의 온도에서 파괴되고 강산이나 강알칼리(pH 6이하 또는 9이상)에서 쉽게 사멸됨으로 소, 돼지 등 고기를 56℃에서 30분, 76℃에
2010-12-17
깨가 쏟아진다는 신혼! 새댁모드로 돌입해서 하루하루 바쁘게 지내고 있는 베이비유! 요즘은 집을 하나둘씩 꾸미는 재미에 푹 빠져버렸다. 거실 한쪽 벽에 벽걸이 TV를 달았는데, 아래쪽으로 거실장을 놓으려고 하다가 거실장을 놓으면 이것저것 잡동사니를 하나둘씩 놓아두면서 지저분하게 될것 같아서 그냥 깔끔하게 TV만 달았다. 그랬더니 벽면이 너무 썰렁해보이는구나.... 신혼이면 한번씩은 붙여본다는 데코 스티커! 나도 그 녀석 붙이기에 도전해봤다. 자작나무 한그루를 거실에다가 심었어요^^ 나무 하나하나, 잎 하나하나를 따로따로 붙여야 하는
2010-12-17
문경시농업기술센터(소장 김길태)는 지난 10일 농촌진흥청에서 개최된 2010년도 전국 최고품질 과실생산단지 육성 사업(이하 탑프루트사업) 종합평가회에서 문경 뫼와 구름골 GAP작목반이 전국 탑프루트 사업 대상 수상단지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농촌진흥청의 역점사업인 탑프루트 프로젝트는 2006년부터 자유무역협정(FTA) 확대체결과 도하개발 어젠다(DDA) 협상 등 개방화 시대에 대응해 우리나라 대표과실인 사과, 단감, 배, 포도, 감귤, 복숭아의 품질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전국 96개 단지를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탑프루트
2010-12-17
안동시(시장 권영세)에서는 구제역 파동으로 축산 농가의 피해는 물론 육류업 및 식육점의 매출 감소, 물류업 및 특산물 택배물량 감소 등 지역의 경제 전체가 큰 위기를 맞고 있는 이때, 관내 377개 유관기관단체 및 전 시민들에게 구제역 관련 지역 경기부양 대책에 대한 협조사항 등을 적극 당부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연말연시 송년회 등 각종 모임시 육류소비 권장을 비롯한 건전한 소비 촉진, 지역 농특산물 대외 홍보, 시민참여운동 전개, 어려운 이웃 나눔행사시 지역 농축산물 활용, 기관단체 특성에 맞는 자체 경기부양 방안 추진 등 기관
2010-12-17
“구제역 확산 방지와 함께 이제 남은 과제는 우리 지역의 경제를 정상화 시키는 일입니다. 연말연시 구제역 때문에 자제했던 모임을 다시 마련하시고, 각 기관단체에서도 연말연시 모임을 갖고 침체된 지역상가에 활기를 불어 넣어 주십시오.” 권영세 안동시장은 “구제역 파동은 안동의 큰 위기이며 축산농가의 직접적인 피해는 말할 것도 없고 안동 지역경제가 큰 위기를 맞고 있다”며 침체된 지역상가 이용과 지역경제 정상화를 위해 시민들이 적극 협조해 줄 것과 377개 기관단체에서도 솔선수범해 줄 것을 ‘시민여러분에게 드리는 글’을 통해 요청했다.
2010-12-17
사진작품 활동을 통하여 향토문화 발전에 기여하고자 1981년 6월 22일 10명의 회원으로 창립된 안동사진동호회는 자유작으로 매년 회원전을 실시하다, 1989년부터 주제전으로 바꾸어 첫 주제 "일상"으로 전시회를 연 후 "오늘의 농촌", "댐에 남은 이야기","안동의 옛집","도청 이전지"등 지역의 문제를 사진을 통하여 지역민과 함께 고민하고 소통하면서 향토의 역사와 문화를 영상으로 기록하고 있다. 1990년 동호회 10년을 정리한 작품집을 발간하고, 1995년에는 안동시군 통합원년의 안동 각 분야를 기록한 "안동 1995"를 발간
2010-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