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독립운동기념관, 독립운동유적 해설사 개강식!!
안동독립운동기념관(관장 김희곤)에서는 안동의 독립운동사를 정확하게 알릴 수 있는 파수꾼을 양성하기 위해 “독립운동유적 해설사” 제 4기 양성과정을 운영한다. 4기 양성과정 개강식은 3월 5일(금) 오후2시 안동독립운동기념관 연수강의실에서 이루어질 예정이다.
국가보훈처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는 이번 과정은 3월 5일부터 6월 11일까지 매주 금요일 2시부터 총14차례에 걸쳐 이루어진다. 교육내용은 한국독립운동사와 안동인이 펼친 독립운동사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룰 계획이다. 또한 안동지역의 독립운동 유적지와 서대문형무소·천안 독립기념관 등 전국의 현충시설을 탐방하는 현장교육을 함께 실시할 계획이다.
안동독립운동기념관은 2007년부터 전국에서 최초로 독립운동유적 해설사 양성과정을 운영해 왔다. 안동에서 시작된 이 과정은 2009년부터 국가보훈처에서 그 필요성을 인식하여 국비를 지원하고, 다른 지역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현재 제1기·제2기·제3기 양성과정을 수료한 125명은 안동의 독립운동사를 알리는 파수꾼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57명은 기념관 해설사로 활약하고 있다.
안동독립운동기념관은 ‘나라사랑 자원봉사단’과‘독립운동 유적 해설사’양성과정을 통해 안동의 독립운동사를 이해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양질의 인력을 배출하여 지역을 찾아오는 관광객들에게 전문성 있는 해설을 제공함으로서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문의>
- 전화 : 054)823-1530 팩스 : 054) 823-1550
- 담당자 메일: kimjh77s@hanmail.net
- 홈페이지 : www.815andong.or.kr
【 연수일자 】 2010. 3. 5 ~ 6. 11. 매주 금요일, 14:00~18:00
【 연수장소 】 안동독립운동기념관
【연수일정 및 내용】
날 짜 |
주 제 |
강 사 | |
3월 5일 |
14:00~14:20 |
개 강 식 |
학예연구실 |
14:20~15:50 |
1910년 국치와 안동 |
김희곤(안동대) | |
15:50~16:50 |
유적해설사, 밝은 미소와 상냥함으로.. |
전병운(YMCA) | |
3월 12일 |
14:00~15:30 |
안동독립운동기념관은 어떤 내용을 전시하고 있나? |
한준호 학예연구원 |
15:30~17:00 |
내 고장 안동, 독립운동의 성지로구나! |
김지훈 학예연구원 | |
3월 19일 |
14:00~15:30 |
한국독립운동의 시기별 특성 |
한시준(단국대 교수) |
15:30~17:00 |
19세기 후반 안동의 선비들은 무엇을 했나? |
강윤정 학예연구실장 | |
3월 26일 |
14:00~15:30 |
안동의 의병항쟁 |
한준호 학예연구원 |
15:30~17:00 |
협동학교가 독립운동사에 미친 영향 |
강윤정 학예연구실장 | |
4월 2일 |
14:00~15:00 |
안동의 독립운동가 바로알기1 - 백하 김대락의 삶과 독립운동 - |
강윤정 학예연구실장 |
15:00~16:00 |
3.1운동과 안동사람들 |
김원석(진성중학교) | |
16:00~17:30 |
건축문화유산에 대한 이해 |
정연상(안동대) | |
4월 9일 |
13:00~18:00 |
안동지역 독립운동사적지 답사1 (도산 하계, 온혜마을, 김남수 생가, 향산고택) |
김지훈 학예연구원 |
이동구, 김방식, 류현정, 이옥비 | |||
4월 16일 |
14:00~15:30 |
안동의 독립운동가 바로알기2 - 석주 이상룡의 삶과 독립운동 - |
김희곤(안동대) |
15:30~17:00 |
안동의 독립운동가 바로알기3 -이육사의 삶과 독립운동- |
류현정(유적해설사) | |
4월 23일 |
13:00~18:00 |
안동지역 독립운동사적지 답사2 (학봉종택, 임청각, 안동댐 주변 현충시설) |
김지훈 학예연구원 |
김용수, 김수형, 류현정 | |||
4월 30일 |
14:00~15:30 |
1920년대 안동지역의 사회운동 |
심상훈 |
15:30~17:00 |
1930~40년대 안동지역의 독립운동 |
강윤정 학예연구실장 | |
5월 7일 |
13:00~18:00 |
안동지역 독립운동 사적지 답사3 (상리, 오미, 가일마을 등) |
강윤정 학예연구실장 |
양형석, 류현정 | |||
5월 14일 |
08:00~18:00 |
현충시설을 찾아서.. |
학예연구실 |
의열투쟁과 안동사람들 강의 |
김용달 | ||
5월 28일 |
13:30~14:30 |
경상북도 독립운동사적지 현황 |
강윤정 학예연구실장 |
14:30~16:00 |
지역사회에서의 현충시설 활성화 방안 |
권오인 기획관리실장 | |
16:00~17:00 |
구수한 사투리로 들어보는 안동문화 이야기 |
류필기 | |
6월 4일 |
08:00~18:00 |
현충시설을 찾아서..(서대문형무소, 중앙고보 등) |
강윤정 학예연구실장 |
서대문형무소의 역사 강의 중앙고보 학생들의 독립운동 |
박경목 (서대문형무소 역사관관장) 이원정 (독립운동가 후손) | ||
6월 11일 |
14:00~15:00 |
교육완구 “임청각” 모형 만들기 |
학예연구실 |
15:00~16:00 |
서바이벌 독립운동사 골든 벨 |
이경민(레크레이션 강사) | |
16:00~17:30 |
안동사람들의 해외 항일투쟁 |
김희곤(안동대) | |
17:30~18:00 |
수료식 |
학예연구실 | |
18:00~ |
어울림 마당 (만찬회) |
기념관 |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